udemy 정리
파이썬의 또다른 문자열 포맷팅 : f-string
ilsancityboy
2023. 7. 6. 19:45
여태 우리는 print()함수를 써서 글을 출력시켰다.
하지만 줄이 길어지고 중간중간에 변수를 넣거나 계산을 해서 출력시키는
여러개의 인자들을 쉼표로 구분해서 출력시키는것은 생각보다 힘들 수 있다.
이럴때 f-string을 사용하면 문자열안에 직접 변수를 삽입시킬 수 있다.
예를들어 설명하겠다.
name = "Alice"
age = 25
print("My name is", name, "and I'm", age, "years old.")
▲print()함수를 사용할 때
name = "Alice"
age = 25
message = f"My name is {name} and I'm {age} years old."
print(message)
▲f-string을 사용할 때
두개의 차이점을 알겠는가?
먼저 print()함수는 문자열들의 사이사이 인수들을 구분하기위해 문자열 하나하나 쌍따움표로 구분짓고 쉼표로
변수를 넣고 다시 쌍따움표를 사용해 문자열을 출력시킨다.
그에 비해서 f-string은 문자열안에 { } 중괄호를 사용해 쉽게 변수를 넣어 출력시킨다.
무조건 f-string을 사용한다는게 좋다는게 아니라 때론 둘다 유용하게 바꿔가며 사용하는게 좋아보인다.